http://www.koreatimes.com/article/20250206/1550895
새해에는 노동법을 준수하시기를
댓글
2025-02-06 (목) 10:22:32 김해원 변호사
지난해 2024년도 1년 내내 한인 고용주들을 위해 동분서주 노력하면서 아주 바빴다.
지난해 한인 고용주들 만을 위한 노동법 세미나를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했고 한인
고용주들 만을 위한 유튜브 노동법 동영상들을 제작해서 2주에 한번씩 배포했다.
또한 한인 고용주들 만을 위한 한국어, 스패니시, 영어 노동법 포스터들을 제작해서 고용주들에게 배포했다. 그리고 2025년에도 노동법 포스터들을 이메일을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했다. 7군데 한인 미디어에 한인 고용주들만을 위한 노동법 칼럼들을 기고했고, 마지막으로 한인 고용주들 만을 위한 한국어 노동법 블로그를 운영했다.
이런 5개 프로젝트들은 2024년에 이어 2025 년도 거의 같이 진행할 것이다.
캘리포니아주 에서 필자처럼 한인 고용주 만을 위해 변호하는 한인 변호사들은 5명 정도 있고 고용주와 종업원을 모두 변호하는 한인 노동법 변호사들도 5명 정도 있다. 그러나 이중에서 한인 고용주만 을 위한 유튜브, 칼럼, 포스터, 세미나, 블로그를 다 제작, 배포,운영하는 노동법 변호사는 필자가 유일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면 노동법 케이스 방어만 해도 시간과 노력이 엄청 들어가는데 그럼 왜 이렇게
필자가 기를 쓰고 엉뚱한 (?)노력을 하는 걸까라고 생각하는 클라이언트들이 많다.
그 이유는 필자는 최대한 많은 한인 고용주들이 복잡한 캘리포니아주 노동법에 대해 잘 알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법을 잘 알아도 준수하기 힘들고 잘 알아도 소송을 당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 현재 캘리포니아주의 실정이기 때문이다.
필자에게 거의 이메일을 보내는 한 미 주류 변호사의 한 칼럼이 최근 눈에 띄어서 인용해본다. 그는 비디오 콘텐츠가 현재 왕 (king)이라고 단언했다. 즉, 틱톡과 유튜브 쇼츠가 인기를 끌면서 그 어느 때보다 많은 사람들이 많은 비디오들을 시청하고 있다고 이변호사는 밝혔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유튜브 쇼츠나 긴 동영상들을 제작해서 잠재 적인 고객들에게 브랜드를 마케팅을 하는 것이 로펌들에게 큰 기회를 가져올 수 있다고 이 변호사는 밝혔다. 그 이유는 동영상을 통해 브랜드의 신뢰감을 쌓고 좀 더 인간적인 면에서 고객들에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21년 이후 유튜브에서 변호사 마케팅 부분 비디오들에 대해 ‘좋아요’ 라고 밝힌 수치가 254%가 증가했고, 유튜버들에 대한 대중의 클릭수는 41% 가 늘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법조계의 전반적인 광고 지출이 지난 2021년 이후 165%늘어난 것에 비해 엄청나게 많은 수치다.
최근 민간인들 대상으로 한 자료 회사가 실시한 설문 데이타에 의하면 4명 중 한 명이 선임하려고 고려하는 변호사로부터 직접 보고 듣기를 선호한다. 그리고 4명 중 1명은 비디오를 통해 자기 질문에 답변을 요구한다. 그리고 2명 중 한 명인 절반에 달하는 잠재적 법적 고객들은 다른 고객들의 경험담을 읽는 것보다 시청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면 노동법 케이스 방어만 해도 시간과 노력이 엄청 들어가는데 그럼 왜 이렇게
필자가 기를 쓰고 엉뚱한 (?)노력을 하는 걸까라고 생각하는 클라이언트들이 많다.
그 이유는 필자는 최대한 많은 한인 고용주들이 복잡한 캘리포니아주 노동법에 대해 잘 알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법을 잘 알아도 준수하기 힘들고 잘 알아도 소송을 당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 현재 캘리포니아주의 실정이기 때문이다.
필자에게 거의 이메일을 보내는 한 미 주류 변호사의 한 칼럼이 최근 눈에 띄어서 인용해본다. 그는 비디오 콘텐츠가 현재 왕 (king)이라고 단언했다. 즉, 틱톡과 유튜브 쇼츠가 인기를 끌면서 그 어느 때보다 많은 사람들이 많은 비디오들을 시청하고 있다고 이변호사는 밝혔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유튜브 쇼츠나 긴 동영상들을 제작해서 잠재 적인 고객들에게 브랜드를 마케팅을 하는 것이 로펌들에게 큰 기회를 가져올 수 있다고 이 변호사는 밝혔다. 그 이유는 동영상을 통해 브랜드의 신뢰감을 쌓고 좀 더 인간적인 면에서 고객들에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21년 이후 유튜브에서 변호사 마케팅 부분 비디오들에 대해 ‘좋아요’ 라고 밝힌 수치가 254%가 증가했고, 유튜버들에 대한 대중의 클릭수는 41% 가 늘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법조계의 전반적인 광고 지출이 지난 2021년 이후 165%늘어난 것에 비해 엄청나게 많은 수치다.
최근 민간인들 대상으로 한 자료 회사가 실시한 설문 데이타에 의하면 4명 중 한 명이 선임하려고 고려하는 변호사로부터 직접 보고 듣기를 선호한다. 그리고 4명 중 1명은 비디오를 통해 자기 질문에 답변을 요구한다. 그리고 2명 중 한 명인 절반에 달하는 잠재적 법적 고객들은 다른 고객들의 경험담을 읽는 것보다 시청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많은 60-70대 한인 고용주들 가운데 유튜브가 익숙치 않고 아직도 문자로 쓰여진 칼럼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20-60대 대부분의 한인들은 유튜브에 매우 익숙하다.
그래서 필자가 1년 전부터 시작한 노동법 유튜브 동영상이 지금 30 개가 넘고 한 동영상 당 방문자 숫자도 300-400개에 달한다. 유튜브, 칼럼, 포스터, 세미나 이런 모든 필자의 노동법 관련 내용들이 블로그에 있는데 안타깝게도 아직도 “인터넷에서 어디를 봐야 노동법 지식을 얻을 수 있냐”고 문의하고 고민하는 한인 고용주들이 많다.
필자의 블로그 (kimmlaw. blogspot.com)는 지난해 10월 29일 총 20만 뷰를 넘어섰다. 이 블로그에는 현재 2,225 개의 기사, 칼럼 등의 포스팅들이 있어서 매달 거의 2천 명의 방문자들이 이 정보들을 보고 있다. 정확히 지난 2014년 2월 14일 이 블로그를 시작했으니 한 달에 약 20개의 게시물을 올리고 있고, 한 게시물 당 평균적으로 약 100명의 뷰어들이 이 블로그를 방문한 셈이다.
한인 고용주들 만을 위한 캘리포니아주 노동법을 한국어로 볼 수 있는 다른 블로그가
없으니 제발 2025년도 필자의 블로그를 적극 이용해서 소송과 각종 클레임으로부터
자유롭기를 진심으로 부탁한다.
(213) 387-1386
haewonkimlaw@gmail.com
<김해원 변호사>
그래서 필자가 1년 전부터 시작한 노동법 유튜브 동영상이 지금 30 개가 넘고 한 동영상 당 방문자 숫자도 300-400개에 달한다. 유튜브, 칼럼, 포스터, 세미나 이런 모든 필자의 노동법 관련 내용들이 블로그에 있는데 안타깝게도 아직도 “인터넷에서 어디를 봐야 노동법 지식을 얻을 수 있냐”고 문의하고 고민하는 한인 고용주들이 많다.
필자의 블로그 (kimmlaw. blogspot.com)는 지난해 10월 29일 총 20만 뷰를 넘어섰다. 이 블로그에는 현재 2,225 개의 기사, 칼럼 등의 포스팅들이 있어서 매달 거의 2천 명의 방문자들이 이 정보들을 보고 있다. 정확히 지난 2014년 2월 14일 이 블로그를 시작했으니 한 달에 약 20개의 게시물을 올리고 있고, 한 게시물 당 평균적으로 약 100명의 뷰어들이 이 블로그를 방문한 셈이다.
한인 고용주들 만을 위한 캘리포니아주 노동법을 한국어로 볼 수 있는 다른 블로그가
없으니 제발 2025년도 필자의 블로그를 적극 이용해서 소송과 각종 클레임으로부터
자유롭기를 진심으로 부탁한다.
(213) 387-1386
haewonkimlaw@gmail.com
<김해원 변호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